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419
문제
창영이는 이번학기에 어떤 교양수업을 듣고 있다. 그런데, 그 교수님은 매우 지각을 자주 하시고 게다가 수업에 지각을 하였을 경우 수업을 일찍 마쳐 주기까지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.
창영이는 교수님의 지각시간 0이상의 정수 t와 수업을 일찍 마쳐주는 시간 s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음을 알았다.
$s = t^2$
문득 창영이는 수업시간 d가 주어졌을 때, 교수님이 얼마나 지각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해졌고, 여러분은 창영이를 도와서 교수님이 지각할 수 있는 최대의 시간을 알아보자. 물론, 교수님이 도착하자마자 수업을 일찍 마쳐서 수업이 끝나는 것도 가능하다. 예를 들어, 수업시간이 6분인 경우, 교수님이 2분 지각을 하면, 4분간 수업을 일찍 마치게 되고, 2+4=6이기 때문에 바로 수업을 끝낼 수 있다. 또 다른 예로, 수업시간이 7분인 경우 교수님이 2분 지각을 하면, 수업을 4분 일찍 마쳐줄 수 있고, 2+4≤7 이므로 가능한 경우가 되고, 교수님이 3분 지각을 하게 되면, 수업을 9분 일찍 마쳐야 되고, 3+9>7 이므로, 교수님이 3분 지각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. 따라서, 교수님은 수업시간이 7분인 경우 교수님은 최대 2분간 지각을 할 수 있다.
입력
창영이가 궁금한 경우의 수 T(1 ≤ T ≤ 100)가 첫 번째 줄에 주어지고, 이어서 T 개의 줄에 수업시간 d(1 ≤ d ≤ 10,000, d는 정수)가 차례대로 주어진다.
출력
수업시간에 따른 교수님이 지각할 수 있는 최대 시간 t를 정수로 구해서 출력한다.
풀이방법
$t$의 제곱근을 구하고 현재 시간에 지각이 가능한지 구한다.($ t + t^2 <= s$)
만약 불가능하다면 $t$를 1 빼고 계산한다.
while문 탈출할 때의 $t$ 값이 정답이다.
코드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def main():
n = int(input())
for _ in range(n):
s = int(input())
t = int(s**0.5)
while (t + t**2) > s:
t -= 1
print(t)
if __name__ =='__main__':
main()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] [Python] 1038번: 감소하는 수 (0) | 2023.11.21 |
---|---|
[BOJ] [C++] 2309번: 일곱 난쟁이 (0) | 2023.11.20 |
[BOJ] [Python] 9440번: 숫자더하기 (0) | 2023.11.17 |
[BOJ] [Python] 6593번 : 상범 빌딩 (0) | 2023.11.16 |
[BOJ] [Python] 11945번: 뜨거운 붕어빵 (1) | 2023.11.15 |